글로벌 경제 지각변동: 중국과 미국의 압박 속에서 유럽과 중진국 대응방법은?

글로벌 경제 지각변동 속에서 중국과 미국의 압도적인 경쟁력에 밀려 어려움을 겪는 유럽, 일본, 한국과 같은 중진국들은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까요?



{getToc} $title={목차}

요즘 세계 경제 지형이 크게 바뀌면서 걱정되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값싼 노동력을 바탕으로 제조업 육성이 개도국의 전형적인 성장 전략이었죠. 하지만 이제 중국이 이 게임의 룰을 뒤집어 엎고 있습니다.

중국의 압도적인 가격 경쟁력

중국은 14억이 넘는 거대 인구에서 나오는 수억 명의 값싼 노동력과 이미 구축된 대규모 제조 인프라를 무기로 내세웠습니다. 월급이 50만원대에 불과하지만 품질은 꽤 좋은 수준입니다. 게다가 물류, 부품 조달, 에너지 등 생산 여건도 최적화돼 있어 극한의 가성비를 자랑합니다.

이에 따라 다른 개도국들은 더이상 중저가 제조업 진출로 성장이 어려워졌습니다. 중국의 압도적 가격 경쟁력을 당해내기가 불가능한 상황이 된 겁니다. 실제로 중남미 철강산업들이 중국의 대규모 저가물량 공세에 밀려 파멸했습니다.



미국의 기술 및 자본력 우위

글로벌 인터넷 첨단산업 반도체

반면 선진국들 사이에서도 큰 격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미국만이 IT, AI 등 최신 신산업을 선점하며 경제적 헤게모니를 확고히 하는 중입니다.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세계 최고 IT 기업 대부분이 미국 기업이죠.

이들은 막대한 R&D 투자와 두터운 자본력으로 최고 인재들을 총동원하고 있습니다. 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최근 영업이익률이 65%에 달할 만큼 초고수익을 내고 있으니, 승자독식 구조에서 미국이 얼마나 유리한지 가늠할 수 있겠죠.

반면 유럽과 일본은 이 신소재 첨단산업 분야에서 크게 뒤처지고 있습니다. 세계 10대 IT 기업에 이들 나라 기업은 전무합니다. R&D 투자액도 석연치 않게 정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죠. 기술력과 자본력에서 미국을 따라잡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게 다는 아닙니다. 미국은 이 분야 그치지 않고 금융, 제약 등 기존 고부가가치 산업에서도 영향력을 키우며 유럽을 밀어내고 있습니다. 도이체은행, BNP파리바와 같은 세계적 대형은행들이 10년 전과 비교해 주가가 바닥을 지켜가며 몰락한 반면, 월가 금융사들은 고점을 경신하고 있습니다.

제약 산업에서도 미국 일라이릴리(eli lilly)의 시가총액이 프랑스 사노피의 6배, 독일 바이어의 30배를 넘나드는 등 미국 기업들의 독주가 두드러집니다. 한때 유럽이 제약 산업을 이끌었지만 이제는 그저 명맥만 유지하는 수준이 되어버렸습니다.



유럽과 중진국의 샌드위치 위기

이렇듯 유럽과 일본은 아래에서는 중국의 추격을, 위에서는 미국의 견제를 받으며 '샌드위치' 신세가 되었습니다. 한국도 이 중진국 그룹에 속해 비슷한 상황입니다. 삼성전자의 이건희 회장이 2007년 언급한 '샌드위치 이론'이 이제는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제조업에 주력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중국에 밀리고 있죠. 첨단산업으로 전환하려 해도 미국의 벽에 가로막혀 있습니다. 결국 버티기 힘든 중간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자동차를 조립하고 있는 로봇암

중국 기업들이 독일 기계 산업, 유럽 자동차 시장까지 잠식하기 시작하면서 중진국 제조업 기반 자체가 무너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5G 스마트폰에서 유럽은 치열한 경쟁에 밀려 노키아까지 몰락했고, 전기차 시장도 중국산에 밀리고 있습니다.

물론 유럽이 전통적 명품 산업과 관광산업으로 버텨내려 할 것입니다. 하지만 유럽 재정의 큰 축을 담당했던 자동차, 화학, 기계산업이 취약해지면서 명품과 관광만으로는 경제를 지탱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경우 전체 수출에서 명품 비중이 1.7%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이를 잘 보여줍니다.

결국 경제력 기반이 무너지면 중산층이 축소되고 고용 여건도 열악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것이 유럽의 최대 과제가 되고 있죠. 유럽과 일본이 이러한 격차를 줄이고 재도약하려면 미국에 맞서 신기술과 신산업을 키워나가는 것이 관건일 것입니다. 기존 산업기반의 고도화와 재편도 병행해야겠지만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유럽과 중진국의 대응 전략

글로벌 경제에 큰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21세기 경제 판도가 어떻게 재편될지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중국, 미국 두 강대국에 끼인 유럽과 중진국 그룹의 진로가 가장 중요해 보입니다. 이들이 어떤 대응 전략을 세우는지, 어떤 식으로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내는지에 따라 세계 경제의 향방이 갈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선 유럽과 일본은 기존 제조업 기반의 고도화에 주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독일과 같은 나라는 친환경, 스마트 기술을 기계, 자동차 등 주력 산업에 접목하는 방식으로 경쟁력을 높이려 할 것입니다. 프리미엄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고부가가치화하는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제약, 바이오 등 유럽이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첨단 분야에 집중 투자할 가능성이 큽니다. 유럽연합 차원에서 보조금, 세제혜택 등의 지원책을 내놓으며 육성 정책을 펼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유럽은 친환경, 지속가능성 등 미래 트렌드에 발맞춰 새로운 블루오션을 개척하는 데도 힘쓸 것으로 예상됩니다. 순환경제, 재생에너지, 수소경제, 탄소중립 기술 등의 분야에서 선도적 지위를 차지하려 할 것입니다.

한편 일본도 기존 자동차, 기계, 반도체 등의 주력 산업을 고도화하는 한편, 차세대 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것으로 보입니다. AI, 로봇, 6G 통신, 친환경 모빌리티 등에서 일본이 앞서나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고, 미국의 견제를 일정 부분 피해갈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결코 쉬운 과정이 아닐 것입니다. 정부의 과감한 정책적 지원, 민간의 집중적인 투자와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전 세계에서 우수 인력을 끌어모으기 위한 개혁과 노력도 수반돼야 할 것입니다. 세계를 무대로 열린 생태계를 조성해 인재들의 발길을 유치해야 합니다.



그 외에도 새로운 국가 간 협력과 경제 블록화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유사한 처지의 중진국가들이 연대하며 통합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무역, 기술, 인력 교류에 있어 시너지를 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합니다.

요컨대 이전과 다른 새로운 게임의 룰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기존 질서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과감한 변신과 대응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일 것입니다. 이번 지각변동이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시할 일입니다.


➤사진출처: freepik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