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바이트 근로계약서 작성 및 확인: 부당 계약 조항 대처법

아르바이트 시작 전 필수 확인! 근로계약서, 당신의 권리를 지키는 첫걸음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는 당신, 근로계약서 작성은 필수입니다! 아르바이트는 사회생활의 첫걸음이자 소중한 경험이지만, 근로계약서에 대한 이해 부족은 부당한 근로 조건, 임금 체불, 부당 해고 등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이며, 이는 모든 아르바이트생에게 적용되는 법적 기준입니다.
이 글에서는 아르바이트 근로계약서 작성 및 확인 방법, 부당 계약 조항 대처법을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getToc} $title={목차}

아르바이트 근로계약서 작성 및 확인

나쁜 아르바이트 근로계약서, 어떤 유형이 있을까요?

알바생의 권리를 침해하는 부당 계약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조항이 있다면 반드시 확인하고 수정 또는 계약 거부를 고려해야 합니다.

  • 위약금/손해배상 조항
    "6개월 미만 근무 시 위약금 50만 원 부과", "업무 실수 시 급여에서 벌금 차감" 등의 조항은 근로기준법 위반입니다. 사업주는 근로 계약 불이행을 이유로 위약금이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 4대 보험 미가입 조건 또는 사업소득 계약 유도
    "3.3% 원천징수 후 지급"이라는 문구는 사업소득으로 계약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로자로 계약하는 경우 4대 보험 가입은 원칙이며, 3.3% 원천징수는 일용직 등 특정 형태의 근로 계약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근로자'로 계약하고 4대 보험 가입 여부를 명확히 하는 것입니다. 4대 보험 미가입 조건은 근로자의 권익을 침해할 수 있습니다.
  • 무급휴일 조항
    사업주의 일방적인 통보로 발생하는 무급휴일 조항은 부당합니다. 사업주 귀책사유로 휴업하는 경우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최저임금 미만 지급 조항
    "수습 기간 3개월 동안 최저임금의 80% 지급"과 같이 수습 기간을 이유로 최저임금보다 낮은 임금을 지급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법입니다.
    1년 이상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수습 기간이 3개월 이내인 경우에 한하여 최저임금의 90%까지 지급 가능합니다. 최저임금 확인
  • 포괄임금제 오용
    포괄임금제는 일정 시간의 연장/야간/휴일 근로 수당을 기본 임금에 포함하는 계약 방식이지만, 이를 악용하여 실제 근로시간에 비해 적은 임금을 지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계약서에 포괄임금제 관련 내용이 있다면, 시간 외 근로 수당이 적정하게 포함되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getCard} $type={post} $title={Card Title}

예를 들어,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시작한 A 씨는 "3개월 이내 퇴사 시 교육비 명목으로 30만 원을 배상해야 한다"는 조항이 있는 근로계약서에 서명했습니다. 이는 명백한 불법 조항으로, A 씨는 해당 조항의 무효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inAds}

부당한 아르바이트 근로계약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부당한 조항이 포함된 계약서를 받았다면 다음과 같이 대처하세요.

  • 수정 요구
    사업주에게 근로기준법에 맞게 계약서 수정을 요청합니다. 근로기준법 위반 조항은 무효이므로 수정 요구는 정당한 권리입니다.
  • 계약 거부
    사업주가 수정을 거부하거나 부당한 조항을 고집한다면 계약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 노동청 신고 및 상담
    사업주가 근로기준법을 위반하는 경우,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국번 없이 1350) 또는 온라인 상담, 대한법률구조공단(국번 없이 132)을 통해 상담 및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필요시 노동청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증빙자료(근로계약서, 임금명세서, 출퇴근 기록 등)를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getCard} $type={post} $title={Card Title}

아르바이트 근로계약서 필수 기재 사항

근로계약서에는 다음 사항이 반드시 기재되어야 합니다.

  • 임금 (최저임금 이상, 지급일, 지급 방법 명시)
  • 근로시간 (시작 및 종료 시간, 휴게 시간 명시)
  • 휴일 (주휴일, 법정 공휴일 등)
  • 연차유급휴가 (발생 조건 및 일수)
  • 근무 장소
  • 업무 내용
  • 계약 기간 (정규직, 계약직, 기간제 등 명시)

{inAds}

아르바이트생도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는 근로자입니다. 부당한 근로 조건에 침묵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해야 합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안전하고 행복한 아르바이트 생활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getCard} $type={post} $title={Card Title}

Previous Post Next Post